실험목적
이 실험을 통하여 스트레인 게이지 계측의 원리와 측정 방법 등의 기본 계측기법을 습득한다. 우리가 실험한(외팔보의 형태) 자유진동 응답 계측 결과를 기반으로 감쇠 계수 및 탄성계수를 측정하며 이러한 절차를 통하여 시스템의 동적 특성을 분석 예측하고 이들 실험 과정에서 외팔보형 동력계의 구성 및 보정방법을 이해한다. 그리고 외팔보에 걸리는 임의의 시변하중을 측정하여 데이터 처리하는 기법을 아울러 습득하게 된다.
실험이론
자유진동:진동체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의 진동이다. 자유진동의 진동수는 진동체의 고유 진동수만 가지며 고유진동수가 여럿인 물체의 경우 기준진동이 중합된 진동수를 갖는다.
감쇠진동:감소진동이란 일정한 주기를 유지하면서 진폭이 점차 감쇠해 가는 진동으로 인접한 진폭의 극대값의 비는 언제나 일정하다
스트레인게이지:물체가 외력으로 변형될 때 등에 변형을 측정하는 측정기를 말하며, 물체에 부착시켜 측정한다. 합금선은 인장방향의 변형을 받으면 길이가 증가하여 단면적이 감소되어 전기저항이 증가하며, 그 증가분을 측정한다. 저항측정은 원리적으로는 전기저항 측정기(Wheatstone Bridge)를 사용한다.
휘스톤브릿지:
전기 저항의 대표적인 측정기이다. 그림과 같이 4개의 저항이 접속되며, P, Q, R는 기지의 저항이고, X는 미지의 저항, G는 검류계일 경우, R을 조정하여 G에 전류 I가 흐르지 않게 하면, P와 Q 및 R과 X의 전압 강하는 각각 같으므로 I1P=I2Q, I1X=I2R에서 PR=QX가 되어 미지의 X값이 구해진다. 이 관계는 교류의 경우에도 성립되기 때문에 콘덴서의 용량이나 인덕턴스의 크기를 알고자 할 때도 사용된다.
탄성계수:비례 한도(탄성 한도) 안에서는 응력과 변형은 정비례하고 [훅(hook) 법칙], 그 때의 비례 정수를 말한다.
감쇠율:과도 현상이 진동형인 경우 진폭이 1주기마다 감소해 가는 비율.
실험기구
실험1: 고정된 외팔보, 전압계, 센서, 멀티미터
실험2: 스트레인 게이지, 증폭기, 오실로스코프, 고정된 외팔보, 필터, 파워서플라이
실험방법
1) 실험1
① 고정된 보와 전압계를 연결한다.
② 고정된 보에 아무런 외력을 가하지 않고 측정되는 저항을 측정한다.
③ 고정된 보에 5cm 인장되는 외력을 가하여 저항을 측정한다.
④ 고정된 보에 5cm 압축되는 외력을 가하여 저항을 측정한다.
⑤ 고정된 보에 10cm 인장되는 외력을 가하여 저항을 측정한다.
⑥ 고정된 보에 10cm 압축되는 외력을 가하여 저항을 측정한다.
2) 실험2
① 스트레인 게이지, 휘트스톤 브릿지, 증폭기, 오실로스코프, 고정된 보, 필터로 실험 장치 를 구성한다
② 필터를 사용하여 보에 외력을 가하여 오실로스코프로 보의 진동을 측정한다.
실험결과
실험1
R | 120.95 | 120.75 | 121 | 120.6 | |
R | 0.15 | -0.05 | 0.2 | -0.2 | |
0.05m | -0.05m | 0.1m | -0.1m | ||
0.00043 | -0.00043 | 0.000860 | -0.000860 | ||
Rn ( R/R) |
0.00124 | -0.000414 | 0.00165 | -0.00165 | |
Rn/ (게이지펙터) |
2.88 | 0.963 | 1.918 | 1.918 | |
외팔보의 조건 b : 3.28mm L : 700mm h : 60mm a : 100mm(센서까지 거리) c=b/2 =120.8 |
(-)은 압축, (+)은 인장 |
실험2
감쇠율
1 | 2 | 3 | 4 | 5 | |||
진폭 | 0.258 | 0.212 | 0.182 | 0.156 | 0.138 | ||
0.196 | 0.153 | 0.154 | 0.123 | 0.123 | |||
평균 | 0.15 | 0.024 |
실험고찰
이번 실험은 외팔보에 작용하는 하중에 따라 신장량이 변하면 센서가 신장량을 읽고 저항의 변화로 표시해 주는 실험과 외팔보가 진동하면서 발생하는 자유진동 응답 계측 결과를 기반으로 감쇠 계수 및 탄성계수를 측정하는 실험이었다. 첫 번째 실험에서는 신장되는 외력에 의한 변화되는 저항값을 측정하는 실험이었는데 외력에 의해 신장 될 때 마다 저항 값을 대략적으로 측정하는 값이기 때문에 정밀한 값을 측정하지는 못했다. 두 번째 실험에서는 충격이 가해질 때 필터가 주변의 잡음 등을 최대한 잡아주기 때문에 첫 번째 실험에 비해서는 비교적 정확한 실험결과 값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.
'기계공학 꿀꺽꿀꺽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열전달-Heat Sink (1) | 2023.10.10 |
---|---|
마이크로공학의 기본-모터 (1) | 2023.10.10 |
로봇공학의 기본 (0) | 2023.10.10 |
기계공학-임베디드공학(원격통신) (0) | 2023.07.17 |
기계공학-임베디드공학(회로구성) (1) | 2023.07.17 |